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양창호, KMI)은 부산KBS와 공동으로 ‘KMI-부산KBS 해양아카데미 시민강좌’를 마련하고, 참가신청을 받고 있다.





강좌는 부산 KBS 방송국 11층 대회의실에서 진행되며, 참가 모집은 5월 30일부터 오는 6월 10일 오후 6시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신청은 선착순 100명(참가자 많을 시 최대 120명)을 대상으로 모집하며, 참가비는 무료다. 신청방법은 이름, 직장명(직위), 핸드폰 번호, 메일주소를 기재해 이메일 kmioa@kmi.re.kr(황수연 연구원)로 보내면 된다. 문의사항은 051-797-4342로 하면 된다.



강좌 주제는 해양과학기술, 북한경제, 이란과 중동 이해, 해양실크로드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루며, 강좌는 오는 6월 16일부터 7월 7일까지 4주간 매주 토요일 10시~17시에 진행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관계자는 “해양과 해양산업에 대한 지식과 정보 전달, 세계주요 지역국가와 글로벌 트랜드에 대한 해양인문학적인 정보제공을 통해 시민의 해양 인식과 의식을 높이기 위해 진행된다”고 밝혔다.




2018 KMI-부산KBS 해양아카데미 시민강좌 프로그램(안)



주차

교시

시간

강좌명

강사

직책

1

6/16

()

10:00~10:10

개강식

양창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원장

1

10:10~11:40

바다 상식과 해양과학기술 

김웅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원장

2

13:00~14:30

북한경제, 어디로 가고 있나?

김영윤

남북물류대표

3

14:40~16:10

이란과 중동에 대한 이해

지호준

주한 이란상공회의소 회장

4

16:20~17:50

해양실크로드-문명사

이희수

한양대학교 교수

 

2

6/23

()

1

10:10~11:40

강한 외교시대, 한반도 생존전략

정세현

 통일부 장관 

2

13:00~14:30

역사에서 배우는 새로운

· 관계

한명기

명지대학교 교수

3

14:40~16:10

중국경제에 대한 이해

박진범

서울 KBS PD

 

3

6/30

()

1

10:10~11:40

우리나라 동해 어업관리는 이렇게

정상윤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장

2

13:00~14:30

컨테이너 화물의 대륙횡단

류제엽

서중물류 대표

3

14:40~16:10

중국 공산당 100

이희옥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장

4

16:20~16:50

시민과 함께 만드는 해양환경 정책

장원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역환경관리센터장

 

4

7/7

()

1

10:10~11:30

바다를 즐기는 해양관광

홍장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관광·문화연구실장

2

13:00~14:30

바다로 보는 인도 문명사

이옥순

인도문화연구원장

3

14:40~16:10

인도의 정치경제 바로보기

김찬완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장

16:10~16:20

종강식  차기 프로그램

최성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아카데미 학장




고양시에서는 여름방학동안 대학생들에게 시정업무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청년 취업역량 강화를 위해 ‘2018년 대학생 직장체험 연수생’을 모집한다고 지난 28일 공고했다.





신청기간은 5월 28일부터 6월 8일 오후 6시까지다. 자격은 대학교 재학생(휴학생포함)으로 공고일 현재 고양시에 주민등록이 돼 있어야 한다. 신청은 고양시 홈페이지(http://goyang.go.kr)에서 인터넷으로 신청 가능하며, 방문접수는 받지 않는다.



근무기간은 오는 7월~8월 중으로 1차와 2차 각각 20일씩 진행되며, 근무시간은 1일 5시간, 주5일 근무다. 근무지는 시청, 도서관, 보건소, 시의회, 고양시 어린이박물관 등 공공기관이며, 모집인원은 총196명이다. 수당은 시급 9,080원, 일급 45,400원(5시간)이다.



선발방법은 전산 무작위 자동추첨으로 진행되며, 선발일시는 오는 6월 15일(금) 오전 10시 이후 진행될 예정이다. 선발자는 6월 15일 오후 3시 이후 1,2차를 통합해 발표하고, 고양시 홈페이지 새소식에 게시된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고양시 홈페이지 새소식에 게시돼 있으며, 문의가 있으면 고양시 민원콜센터(031-909-9000) 또는 고양시 일자리창출과(031-8075-3717)로 연락을 취하면 된다.




부서별 모집분야(단위 : 명)



  

수요인원

업무내용

비고

1

2

합계

196

101

95

 

 

시청

14

10

4

업무보조  전산 DB작업

평생교육과

보건소

26

13

13

 

 

덕양구

4

2

2

보건사회복지업무 보조 

 

일산동구

22

11

11

보건사회복지 업무 보조

 

도서관

50

25

25

 

 

덕양구

24

12

12

자료실(사서) 업무보조

화정,원당,삼송,화정・행신어린이

일산동구

10

5

5

자료실(사서) 업무보조

아람,마두,풍동,백석,식사

일산서구

16

8

8

자료실(사서) 업무보조

대화,한뫼,가좌,주엽어린이

차량등록사업소

2

1

1

민원 행정 업무보조

 

고양시의회

2

1

1

의정업무 보조

의정담당관

고양문화재단

10

5

5

박물관 프로그램 운영보조

고양어린이박물관

덕양구

44

22

22

민원 행정  복지 업무보조

시민봉사과,세무과,동주민센터(19)

일산동구

26

13

13

민원 행정  복지 업무보조

시민봉사과,세무과,동주민센터(11)

일산서구

22

11

11

민원 행정  복지 업무보조

시민봉사과,세무과,동주민센터(9)




경남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에 대한 채용정보와 NCS 특강 등 유익한 채용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국토교통부와 경상남도는 오는 24일 경상대 BNIT R&D센터 1층 로비와 2층 대강의실에서 ‘2018년 경남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합동채용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기관별 채용요강 소개, 지역인재 취업성공사례 토크쇼, NCS 기반 채용방법 소개, 모의면접, 직업심리검사. 기타 부대행사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행사에 참여하는 곳은 총 45개 기관(이전 및 지방 공공기관 19, 대학 20, 유관기관 5, 경상남도 일자리센터)이며, 채용상담 부스로는 총 36개 부스가 운영된다. 참여 공공기관은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중소기업진흥공단, 국방기술품질원, 한국남동발전, 주택관리공단, 한국시설안전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등이다.



2018년 경남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합동채용설명회 행사 일정

 

   

 

10:30-10:50

20‘

식전공연

사회자 

10:50-11:50

60‘

토크쇼(지역인재 취업성공사례)

전문면접관

11:50-14:00

130‘

점심시간

 

14:00-14:08

8`

개회  내빈소개

설명회 취지 소개

사회자 

14:08-14:20

12‘

주요내빈 인사말씀

 - 국토교통부, 경상남도

 - 경상대학교 총장님

사회자 

14:20-14:25

5‘

혁신도시 시즌2 소개(동영상)

사회자 

14:25-14:40

15‘

이전공공기관 오픈캠퍼스 사례 소개

전력거래소

14:40-15:10

30‘

기관소개  채용요강 발표, 질의응답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15:10-15:30

20‘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소개

한국산업인력공단

15:30-16:00

30`

기관소개  채용요강 발표, 질의응답

중소기업진흥공단,

국방기술품질원

16:00-16:30

30`

모의면접 시연과 컨설팅

   (한국남동발전, 주택관리공단, 한국시설안전공단)

공공기관

16:30-17:00

30`

공연  마무리

사회자

10:00-12:00,

13:00-17:00,

360‘

채용상담  모의면접, 직업심리검사, 부대행사

상시 부스 운영




❑ 기관 채용상담 부스 운영

 ❍ (일    시)‘18. 5. 24.(목) 10:00~17:00

 ❍ (장    소) 경상대학교 BNIT R&D 센터 1층

 ❍ (운영규모) 36개 부스(이전공공기관 10, 지방공기업 9, 유관기관 5, 

    GNU 4, 경상남도 일자리센터, 부대행사 6, 본부 1)

 ❍ (내    용) 기관별 채용상담, 홍보물 배부, 기념품 제공 등


❑ 모의면접 부스 운영

 ❍ (일    시)‘18. 5. 24.(목) 11:00~12:00(3회), 14:00~16:00(6회)

 ❍ (운영방식) 1대3(지원자1, 면접관3) 면접

    - 체험자 수: 총18명(1명*9회*2부스, 20분 간격, 2개 부스)

 ❍ (운영절차) 자기소개서 및 신청서 접수→ 시간배정→모의면접


❑ 직업심리검사 부스 운영

 ❍ (일    시) ‘18. 5. 24.(목) 11:00~12:00(1회), 14:00~16:00(2회)

 ❍ (운영방식) 지원자 검사지 작성 및 전문가 상담 

    - 체험자 수: 총36명(12명*3회, 60분 간격, 1개 부스)

 ❍ (운영절차) 검사지 작성→ 취합 및 결과도출→ 결과지 전달 및 전문가 상담


❑ 면접사진 포토존 및 면접 컨설팅(메이크업, 정장), 취업사주 부스 운영

 ❍ (일    시) ‘18. 5. 24.(목) 10:00~17:00, 행사장내 부스

 ❍ (운영방식) 

    - 무료 면접사진 촬영 및 인화(상시)

    - 체형에 맞는 면접정장 고르는 법, 넥타이 매칭방법, 비즈니스 복장 등 패션 강좌(총 3회, 11:00~12:00/14:00~16:00)

    - 얼굴형 및 계절에 맞는 화장법, 피부관리 요령 등(총 3회, 11:00~12:00/14:00~16:00)

    - 취업사주 상담(상시)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산하 공공기관이 체결하는 임대차 계약의 공정성이 한층 높아질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산하 공공기관과 합동으로 임대차 계약의 불공정 여부를 자체 검토하고, 불공정 여지가 확인된 약관은 전면 개정하기로 결정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지난 3월, 공정거래위원회는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에스알(SR), 코레일유통 4개 기관에 대한 임대차 계약서를 검토해 13건의 불공정 약관에 대하여 시정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검토는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 중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이미 조사한 4개 기관 이외에 임대차 계약 체결 건이 있는 11개 기관에 대하여 국토교통부가 자체 검토를 실시한 것으로, 공정위에서 발표한 불공정 약관 사례를 참고해 공공기관별로 법률자문 등을 거쳐 진행했다.



국토부와 해당 공공기관의 자체 검토 결과,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민법’ 등 관계법령에 따라 11개 기관 총 2,340개 계약서 중, 10개 기관의 62개 유형의 약관이 불공정 여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0개 공공기관 :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감정원, 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한국국토정보공사, 코레일네트웍스, 워터웨이플러스,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10개 공공기관은 이번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불공정성 여지가 있는 약관 조항을 전면 개정할 계획이다.



불공정 약관의 주요 사례와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임대차 계약서에 포함된 ‘임차인이 정해진 기한까지 명도를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 통상 임대료·관리비·연체료 등의 2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임대인에게 지급하여야 한다’는 조항은 임차인에게 실제 발생한 손해 범위 이외의 과도한 손해배상 의무를 부과하고 있어, 약관법 제6조 따라 불공정한 것으로 검토 되었다.



따라서, 통상적인 수준인 임대료·관리비·연체료에 해당하는 금액 만큼만 임대인에게 지급토록 하는 약관으로 개정될 예정이다.



또한, ‘임차인이 명도를 불이행하거나 임대료·공과금 등을 체납하는 경우 임대인이 단전·단수 할 수 있다’는 조항은 약정기간 만료여부, 임대차보증금이 남아있는지 여부 등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단전, 단수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약관법 제6조에 따라 임차인에게 부당하게 불리하므로 삭제될 예정이다.




그리고 ‘천재지변이나 기타 불가항력에 의한 사유, 임대차 계약의 해지 등으로 임차인에게 손해가 발행한 경우 임차인의 손해배상 및 이의제기 등을 원천적으로 금지한다’는 조항은 임차인에게 부당하게 불리할 뿐 아니라, 임대인의 책임을 배제하는 조항으로 약관법 제6조, 제7조에 따라 불공정하므로 개정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임대인에게 법률(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에서 규정하지 아니한 계약 해지권을 부여하거나, 최고절차 없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의 경우 약관법 제9조에 따라 불공정하므로, 사전 최고 후 법률에 따라 계약해지가 가능한 경우에만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개정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김재정 기획조정실장은 “불공정 약관에 대한 국토교통부와 산하 공공기관의 자체 시정이 향후 우리사회의 공정한 거래 질서 확립에 공공부문이 솔선수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불공정 약관 시정 등 사후적 조치 뿐 아니라 국민과 최접점에 있는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혁신활동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 실현 활동에도 국토교통부와 산하 공공기관이 앞장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 주요 불공정 약관 내용 >


① 명도 불이행시, 임차인에게 과도한 손해배상 의무를 부과하거나 임대인이 단전·단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

② 임차인의 손해배상 및 이의 제기를 금지하는 조항

③ 법령상 강제하지 않은 보험 가입 의무 조항

④ 임대인에게 법률(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에서 규정하지 아니한 계약해지권을 부여하거나 최고 절차 없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

⑤ 임차인에게 과도하게 개설 개선 등의 수인 의무를 부과하는 조항

⑥ 임차인의 부속물 매수 청구권을 배제하는 조항

⑦ 부당하게 임대인의 면책특권을 부여하는 조항

⑧ 일방적인 계약 변경권을 임대인에게 부여하는 조항

⑨ 임차인에게 과도하게 위험을 전가하는 조항

⑩ 약관의 일방적인 해석권을 임대인에게 부여하는 조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2018년도 ‘이공계 전문기술 연수사업’을 수행할 연수기관 33곳을 선정하고 4월 9일(월)부터 참여 연수생 2,100여명을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이공계 전문기술 연수사업은 이공계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고 취업까지 연계 지원하는 산업계 수요기반의 맞춤형 인재육성사업입니다.




과기정통부는 2003년도부터 2017년까지 총 39,457명의 이공계 미취업 학사에게 전문기술연수를 지원하였고, 동 사업의 평균 취업률은 73.9%로  이공계 청년 실업해소에 기여해왔습니다. 올해는 92억원의 예산으로 2,100명의 이공계 청년들에게 전문기술 습득 기회를 제공하며, 이번 선정된 한국생산성본부 등 33개 연수기관은 전기 · 전자, 정보통신, 기계․소재, 화학․에너지, 지식서비스 등 5개 분야의 특화된 전문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합니다. 



특히 올해는 청년들의 실업 불안감을 조기에 해소하고 구직난을 겪고 있는 중소 ․중견기업의 우수 인력 확보 지원을 위해 “채용약정형 연수”를 도입합니다. 한국품질재단, 한국세라믹기술원, 벤처기업협회 등 9개 연수기관은 연수생 695명에 대해 관련기술 분야의 기업과 채용약정을 체결*하여 연수의 질 제고와 연수생들의 취업 기회 확대를 꾀합니다.( (예시) 한국세라믹연구원 - 지엘레페(LED조명 생산기업) 간 연수생 채용약정 체결 등)



각 연수기관 연수생 모집은 만 34세 이하 이공계 대졸(2년제 이상) 청년 중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하며 여성 이공계 인력, 장애인, 장기실업자 등 취업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선발 시 우대합니다.(* 저소득층(최저생계비 150%이하), 보훈대상자, 결혼이민자, 북한이탈주민 등)



연수생들은 전문연수기간(4개월 내외) 동안 연수기관에서 전문분야 이론 및 실습 교육을 받으며, 기업체 실무연수기간(2개월 내외) 동안 연수기관의 협력기업에서 실제 업무를 체험해보는 기회를 갖고, 또한 연수생들은 전문연수기간 동안 월 30만원, 기업체 실무연수기간 동안에는 월 50만원의 연수수당도 지급받는다고 합니다.



연수 참가를 희망하는 이공계 대졸 미취업자는 이공계전문기술연수사업 홈페이지(SNEJOB.koita.or.kr)에서 33개 연수기관 별 연수과정 및 일정을 확인한 후, 자신의 전공과 취업분야를 고려하여 해당 연수기관에 접수하면 됩니다.



2018년 이공계전문기술연수사업 연수기관 현황

□ 33개 기관, 연수생 2,100명   

분야

기관명

지역

인원

과정

전기·전자

(7)

대한상공회의소 서울기술교육센터

서울 

70

H/W  S/W 통합전자설계 전문가

전자부품연구원 전북지역본부

전북

30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문 인력 양성

한국계량측정협회

서울

40

정밀측정기술 측정 전문가 양성

한국반도체산업협회

경기

30

반도체장비 요소기술 전문 인력 양성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서울

50

전기설비 스페셜리스트 양성

한국전기철도기술협력회

경기

40

전기철도분야 전문기술 인력 양성

한국컴퓨팅산업협회

서울

30

차세대 프로젝트를 위한 오픈소스 관리자 양성

정보통신

(13)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충남

40

빅데이터  인공지능 전문가 과정

벤처기업협회

서울

60

임베디드시스템 SW개발자 양성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기

60

응용프레임워크기반 엔지니어 양성

스마트미디어인재개발원

광주

60

프로젝트 기반의 IOT 융합서비스 개발자

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기

30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 센터 구축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전

20

자바 안드로이드 SW융합 개발자 양성

인천지식산업협회

인천

65

정보보안 지니어 전문가 양성 과정

한국IT전문가협회

서울

60

자바 FRAMEWORK 기반  응용SW 개발자 양성

한국기업혁신진흥원

서울

48

증강현실을 활용한 응용 SW엔지니어 양성 

한국디지털기업협회 디지털인재개발원

서울

23

UX/UI기반 반응형 웹퍼블리셔 과정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서울

30

딥러닝 플랫폼 개발을 위한 임베디드 SW인력 교육

한국정보기술연구원

서울

60

공공데이터기반 Java Application 개발자 과정

한국클라우드컴퓨팅연구조합

서울

30

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 개발  분석 전문가 양성

기계·소재

(7)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

100

3D 기계설계 전문인력 양성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북

30

3D 그래픽자격증 취득  3D 모델 

자동차부품연구원

충남

60

자동차부품개발 기술연수

캠틱종합기술원

전북

24

첨단 부품 설계개발 전문 인력 양성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충남

50

메카트로닉스 분야 전문가 양성

한국생산성본부

서울

200

CATIA 전문인력 양성 교육

한국융복합산업협회

경기

20

3D 모델링 기계설계 전문인력 양성

화학 에너지

(3)

한국바이오협회

경기

40

바이오 의약품 공정  분석 기술 과정

한국세라믹기술원

경남

150

첨단 신소재 인력 양성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충남

40

바이오 품질관리 인력 양성

지식서비스

(3)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경남

220

시험인증 전문인력 양성

한국표준협회

서울

40

RPA기반의 PE 양성 과정

한국품질재단

서울

250

자동차분야 생산, 품질 관리 

33 기관

-

2,100

-

 ※ 음영표시는 채용약정형 도입 기관임(9개 기관, 695명)




이공계전문기술연수사업 연수 신청절차 및 실시기관별 연락처

□ 신청절차

 ○ 기관 별 연수과정 및 연수시작일 등 확인 → 신청과정에 대한 상담(실시기관 담당자) → 연수신청 → 실시기관 별 서류심사 → 면접 → 결과통보


□ 실시기관 연락처

 ○ 홈페이지: http://SNEJOB.koita.or.kr

기관명

연수시작일

문의처

해당기관 홈페이지

1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04/09

031-259-6062

www.gbsa.or.kr

2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06/04

063-469-7332

www.kunsan.ac.kr

3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05/28

041-580-2428

iacf.nsu.ac.kr

4

대한상공회의소 서울기술교육센터

05/28

02-311-1050

www.kccistc.net

5

벤처기업협회

04/23

02-6331-7054

www.venture.or.kr

6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04/16

032-610-0582

www.bc.ac.kr

7

스마트미디어인재개발원

04/13

062-655-3509

kism.or.kr

8

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05/21

031-400-7197

www.ansan.ac.kr

9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06/04

042-630-9812

www.itedu.wsu.ac.kr

10

인천지식산업협회

06/01

032-715-5391

www.icia.or.kr

11

자동차부품연구원

04/17

041-559-3189

www.katech.re.kr

12

전자부품연구원 전북지역본부

05/23

063-219-0112

www.keti.re.kr

13

캠틱종합기술원

04/09

063-219-0385

www.camtic.or.kr

14

한국IT전문가협회

05/14

02-338-2311

www.ipak.or.kr

15

한국계량측정협회

05/28

02-3489-1366

www.kasto.or.kr

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05/07

041-521-8178

www.koreatech.ac.kr

17

한국기업혁신진흥원

05/28

02-463-5912

www.keipi.or.kr

18

한국디지털기업협회 디지털인재개발원

04/23

010-9352-0736

www.duniv.or.kr

19

한국바이오협회

05/29

031-628-0033

www.koreabio.org

20

한국반도체산업협회

05/28

02-570-5218

www.ksia.or.kr

2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04/23

02-860-1502

edu.ktl.re.kr

22

한국생산성본부

05/28

02-398-6425

kpc.or.kr

23

한국세라믹기술원

05/08

055-792-2776

www.kicet.re.kr

24

한국융복합산업협회

06/18

02-6389-0042

www.kocia.net

25

한국전기기술인협회

05/02

02-2182-0788

www.keea.or.kr

26

한국전기철도기술협력회

05/28

02-796-9561

www.kreta.kr

27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04/23

02-6388-6124

www.gokorea.org

28

한국정보기술연구원

05/24

070-7093-9889

www.kitri.re.kr

29

한국컴퓨팅산업협회

07/09

02-2052-0122

www.k-cia.or.kr

30

한국클라우드컴퓨팅연구조합

07/02

02-2052-1163

www.cccr.or.kr

31

한국표준협회

05/01

02-2624-0172

www.ksa.or.kr

32

한국품질재단

06/18

051-831-0471

www.kfq.or.kr

3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04/09

041-540-9908

iacf.hoseo.ac.kr

※ 연수시작일은 기관 사정으로 일부 변경 가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