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식] 탭 - [글머리] 및 [수준] 그룹. 문단번호, 글머리표, 그림 글머리표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한 수준 증가, 한 수준 감소 등을 선택해 적용할 수 있다.[서식] 탭 - [글머리] 및 [수준] 그룹. 문단번호, 글머리표, 그림 글머리표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한 수준 증가, 한 수준 감소 등을 선택해 적용할 수 있다.

 

 

문단번호 삽입하기글의 앞에 문단번호를 입력하고 첫 줄을 내어쓰기하여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다음처럼 문단 앞에 번호를 삽입하고 여백을 줄 수 있도록 간편하게 편집하는 방법입니다.
1. 과일
  1) 사과
     ① 홍로
     ② 홍옥
     ③ 미니애플
     ④ 부사

 

우선 서식 탭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서식]탭을 클릭하여 [글머리] 그룹에서 [문단번호]의 목록단추를 클릭하여 첫번째 항목을 선택합니다.

 

하위 수준으로 설정할 내용을 블록지정한 후 [서식] 탭의 [수준] 그룹에서 '한 수준 감소' 단추를 클릭합니다.


[서식]  탭의 [문단] 그룹에서 [왼쪽 여백 늘리기]를 클릭하여 여백을 지정합니다.


문단 번호를 지정한 상태에서 동일한 수준일 때 새 번호로 시작하려면 [서식] 탭 - [글머리] 그룹 - [문단번호 새 번호로 시작]을 선택합니다.

 

 

 

문단번호를 적용한 예문단번호를 적용한 예

 

 

글머리표를 적용한 예글머리표를 적용한 예

 

 

 

그림 글머리표를 적용한 예그림 글머리표를 적용한 예

 

 

글머리표 삽입하기

 

1. [서식]  탭 - [글머리] 그룹에서 [글머리표] 목록 단추를 클릭합니다.

 

2. 하위 수준으로 설정할 내용을 블록 지정한 후 [서식] 탭의 [글머리] 그룹에서 [글머리표]의 목록 단추를 클릭합니다.

 

3. [서식] 탭의 [문단] 그룹에서 [왼쪽 여백 느리기] 단추를 여러번 클릭하여 적당하게 여백을 줍니다.

 

4. 동일한 방법으로 글머리표와 왼쪽 여백을 지정하여 보게 좋게 편집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 한글 메뉴 ------>

1. [서식] - [글머리] 그룹에서 [글머리표] 목록 단추를 클릭합니다.

● 파일 --------->

2. 하위 수준으로 설정할 내용을 블록 지정한 후 [서식] 탭의 [글머리] 그룹에서 [글머리표]의 목록 단추를 클릭합니다.

★ 새문서 ------->

★ 불러오기

★ 저장하기

★ PDF로 저장하기

3. [서식] 탭의 [문단] 그룹에서 [왼쪽 여백 느리기] 단추를 여러번 클릭하여 적당하게 여백을 줍니다.

 

 

● 편집

 

★ 오려두기

★ 복사하기

★ 붙이기

★ 모두선택

 

 

그림 글머리표도 [서식] 탭의 [글머리] 그룹에서 [그림 글머리표]의 목록 단추를 클릭하여 선택해 지정할 수 있습니다.

 

 

'IT > 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HWP] 문단에 테두리/배경 만들기  (0) 2020.09.29
[한글·HWP] 배분 정렬과 나눔 정렬  (0) 2020.09.29



문단을 강조하기 위해서 표나 글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문단에 테두리와 배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서식]에서 [문단 모양] 설정화면 - [테두리/배경]를 클릭합니다. 또는 단축키 'Alt + T'를 누른 후 문단 모양 설정화면에서 '테두리/배경'을 선택합니다.



그림설명. '테두리/배경' 설정화면에서 -> 테두리 종류 : 실선 선택, 굵기 0.5mm 선택, 문단 테두리 연결 선택, 배경에서 연두색 선택 후 모습.



글자와 테두리가 붙어 있어서 답답한 느낌이 듭니다.




'테두리/배경'으로 다시 들어가서 왼쪽, 오른쪽, 위쪽, 아래쪽 사방에 간격을 2mm 설정합니다.


그림 설명. 사방에 간격을 줌으로써 좀 더 보기 편안한 편집이 되었습니다.



회색톤으로 문장에 테두리와 배경을 설정해 보겠습니다. 글의 내용을 강조할 때 활용하면 유용하겠습니다.


그림 설명. 회색톤으로 문장을 강조한 모습.




'IT > 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HWP] 문단 번호 및 글머리표 삽입하기  (0) 2020.09.30
[한글·HWP] 배분 정렬과 나눔 정렬  (0) 2020.09.29

 

 

한글의 정렬 방식에서 양쪽 정렬, 왼쪽 정렬, 가운데 정렬, 오른쪽 정렬, 배분 정렬, 나눔 정렬 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양쪽 정렬, 왼쪽 정렬, 가운데 정렬, 오른쪽 정렬은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 흔히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분 정렬, 나눔 정렬은 정확히 어떤 형태인지 잘 모르면서 지나치게 되는데, 어던 형태인지 알아봅시다.

 

 

그림 설명. [서식] 탭 - [문단] 그룹에서 선택할 수 있는 배분 정렬과 나눔 정렬.

 

 

 

소설 소나기 문장의 일부분에 배분 정렬을 적용해 보았습니다. 배분 정렬은 문단에서 각 단어의 간격을 균등하게 분할합니다.

 

그림 설명. 배분 정렬을 적용한 문단.

 

 

나눔 정렬은 문단 모양을 양쪽으로 가지런하게 맞추되, 어절 사이를 일정하게 띄웁니다.

 

그림 설명. 나눔 정렬을 적용한 문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