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식] 탭 - [글머리] 및 [수준] 그룹. 문단번호, 글머리표, 그림 글머리표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한 수준 증가, 한 수준 감소 등을 선택해 적용할 수 있다.[서식] 탭 - [글머리] 및 [수준] 그룹. 문단번호, 글머리표, 그림 글머리표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한 수준 증가, 한 수준 감소 등을 선택해 적용할 수 있다.

 

 

문단번호 삽입하기글의 앞에 문단번호를 입력하고 첫 줄을 내어쓰기하여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다음처럼 문단 앞에 번호를 삽입하고 여백을 줄 수 있도록 간편하게 편집하는 방법입니다.
1. 과일
  1) 사과
     ① 홍로
     ② 홍옥
     ③ 미니애플
     ④ 부사

 

우선 서식 탭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서식]탭을 클릭하여 [글머리] 그룹에서 [문단번호]의 목록단추를 클릭하여 첫번째 항목을 선택합니다.

 

하위 수준으로 설정할 내용을 블록지정한 후 [서식] 탭의 [수준] 그룹에서 '한 수준 감소' 단추를 클릭합니다.


[서식]  탭의 [문단] 그룹에서 [왼쪽 여백 늘리기]를 클릭하여 여백을 지정합니다.


문단 번호를 지정한 상태에서 동일한 수준일 때 새 번호로 시작하려면 [서식] 탭 - [글머리] 그룹 - [문단번호 새 번호로 시작]을 선택합니다.

 

 

 

문단번호를 적용한 예문단번호를 적용한 예

 

 

글머리표를 적용한 예글머리표를 적용한 예

 

 

 

그림 글머리표를 적용한 예그림 글머리표를 적용한 예

 

 

글머리표 삽입하기

 

1. [서식]  탭 - [글머리] 그룹에서 [글머리표] 목록 단추를 클릭합니다.

 

2. 하위 수준으로 설정할 내용을 블록 지정한 후 [서식] 탭의 [글머리] 그룹에서 [글머리표]의 목록 단추를 클릭합니다.

 

3. [서식] 탭의 [문단] 그룹에서 [왼쪽 여백 느리기] 단추를 여러번 클릭하여 적당하게 여백을 줍니다.

 

4. 동일한 방법으로 글머리표와 왼쪽 여백을 지정하여 보게 좋게 편집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 한글 메뉴 ------>

1. [서식] - [글머리] 그룹에서 [글머리표] 목록 단추를 클릭합니다.

● 파일 --------->

2. 하위 수준으로 설정할 내용을 블록 지정한 후 [서식] 탭의 [글머리] 그룹에서 [글머리표]의 목록 단추를 클릭합니다.

★ 새문서 ------->

★ 불러오기

★ 저장하기

★ PDF로 저장하기

3. [서식] 탭의 [문단] 그룹에서 [왼쪽 여백 느리기] 단추를 여러번 클릭하여 적당하게 여백을 줍니다.

 

 

● 편집

 

★ 오려두기

★ 복사하기

★ 붙이기

★ 모두선택

 

 

그림 글머리표도 [서식] 탭의 [글머리] 그룹에서 [그림 글머리표]의 목록 단추를 클릭하여 선택해 지정할 수 있습니다.

 

 

'IT > 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HWP] 문단에 테두리/배경 만들기  (0) 2020.09.29
[한글·HWP] 배분 정렬과 나눔 정렬  (0) 2020.09.29



문단을 강조하기 위해서 표나 글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문단에 테두리와 배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서식]에서 [문단 모양] 설정화면 - [테두리/배경]를 클릭합니다. 또는 단축키 'Alt + T'를 누른 후 문단 모양 설정화면에서 '테두리/배경'을 선택합니다.



그림설명. '테두리/배경' 설정화면에서 -> 테두리 종류 : 실선 선택, 굵기 0.5mm 선택, 문단 테두리 연결 선택, 배경에서 연두색 선택 후 모습.



글자와 테두리가 붙어 있어서 답답한 느낌이 듭니다.




'테두리/배경'으로 다시 들어가서 왼쪽, 오른쪽, 위쪽, 아래쪽 사방에 간격을 2mm 설정합니다.


그림 설명. 사방에 간격을 줌으로써 좀 더 보기 편안한 편집이 되었습니다.



회색톤으로 문장에 테두리와 배경을 설정해 보겠습니다. 글의 내용을 강조할 때 활용하면 유용하겠습니다.


그림 설명. 회색톤으로 문장을 강조한 모습.




'IT > 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HWP] 문단 번호 및 글머리표 삽입하기  (0) 2020.09.30
[한글·HWP] 배분 정렬과 나눔 정렬  (0) 2020.09.29

 

 

한글의 정렬 방식에서 양쪽 정렬, 왼쪽 정렬, 가운데 정렬, 오른쪽 정렬, 배분 정렬, 나눔 정렬 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양쪽 정렬, 왼쪽 정렬, 가운데 정렬, 오른쪽 정렬은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 흔히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분 정렬, 나눔 정렬은 정확히 어떤 형태인지 잘 모르면서 지나치게 되는데, 어던 형태인지 알아봅시다.

 

 

그림 설명. [서식] 탭 - [문단] 그룹에서 선택할 수 있는 배분 정렬과 나눔 정렬.

 

 

 

소설 소나기 문장의 일부분에 배분 정렬을 적용해 보았습니다. 배분 정렬은 문단에서 각 단어의 간격을 균등하게 분할합니다.

 

그림 설명. 배분 정렬을 적용한 문단.

 

 

나눔 정렬은 문단 모양을 양쪽으로 가지런하게 맞추되, 어절 사이를 일정하게 띄웁니다.

 

그림 설명. 나눔 정렬을 적용한 문단.

 

 


파워포인트로 그래프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워포인트에서는 그래프를 ‘차트’라고 표현을 합니다. 따라서 저도 이를 준용해 차트라는 용어를 사용해 설명하겠습니다.



일반적인 표를 그래픽 요소로 변환하면 청중이나 독자로부터 이해를 구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보기도 좋아 주목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프레젠테이션이나 문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파워포인트 2016’을 기준으로 설명을 하는데 만약 여러분이 이와 다른 하위 버전이라 보이는 그림이 틀릴 수 있지만 당황하지 마세요. 기본적인 큰 틀은 비슷하기 때문에 큰 틀만 따라서 하면 문제없이 차트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우선 차트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파워포인트의 컨텐츠 중 ‘삽입’ → ‘차트’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세로막대형 ▲꺾은선형 ▲원형 ▲가로막대형 ▲영역형 ▲분산형 ▲지도 ▲주식형 ▲표면형 ▲방사형 ▲트리맵 ▲선버스트 ▲히스토그램 ▲상자수염그림 ▲폭포 ▲깔때기형 ▲콤보 등 다양한 차트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만들고자 하는 차트유형을 선택하세요. 저는 흔히 사용하는 세로막대형을 클릭했습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선택한 차트와 함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편집 창이 표시됩니다. 데이터 편집창은 엑셀과 마찬가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각 셀을 눌러서 원하시는 내용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엑셀 데이터를 복사한 후 현재 데이터 편집창에 붙여넣기를 하셔도 됩니다.





철수와 영희의 국어, 영어, 수학 점수로 차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차트 가로편에 표시되는 항목의 각 셀에 국어, 영어, 수학을 넣습니다. ‘항목 1=국어, 항목 2=영어, 항목 3=수학’으로 각각 변경을 했습니다. 그리고 차트 세로를 나타내는 계열을 철수와 영희로 변환시키겠습니다. ‘계열 1=철수, 계열 2=영희’로 삽입합니다. 항목이나 계열을 추가하거나 삭제해 내용을 자유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저는 항목 4와 계열 3을 ‘행 삭제’와 ‘열 삭제’를 이용해 삭제했습니다. 반대로 행과 열에 내용을 입력하면 추가해 늘릴 수 있습니다.





완성된 표의 모습입니다. 직접 차트를 만들어보는 것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차트를 잘 활용하셔서 완성도 높은 문서와 PPT를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