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로부터 사이트가 4.9.2로 업데이트 됐다는 소식을 받았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 안내하고 있는 개선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 사용자 정의하기 작업흐름 개선



▢ 사이트 디자인 사용자 정의 임시저장 및 예약


네, 맞습니다. 임시글을 만든 다음 글을 수정하고 선택한 날짜와 시간에 공개되도록 예약할 수 있듯이 사이트 디자인을 공개하기 전에 원하는 시간에 예약할 수 있습니다.



▢ 디자인 미리보기 링크를 통한 공동작업


제안된 사이트 디자인의 변경사항에 대해 피드백을 받고 싶으신가요? 워드프레스 4.9는 팀이나 고객에게 미리보기 링크를 보낼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변경사항을 공개하기 전에 피드백을 수집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공동작업++라고 하죠?



▢ 변경사항을 보호하는 디자인 잠금


두 사람의 디자이너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한 디자이너가 다른 디자이너의 멋진 작업물을 덮어쓰기해버린 경험이 있으신가요? 워드프레스 4.9의 디자인 잠금기능(글 잠금 기능와 유사함)은 어렵게 만든 작업중인 디자인을 보호하며 다른 사람이 변경하거나 지울 수 없게 합니다.



▢ 작업물 보호 메시지


새로운 디자인을 저장하지 않고 책상에서 벗어날 일이 있다면 걱정하지 마세요. 돌아왔을 때 워드프레스 4.9는 변경사항을 저장할 것인지 친절하게 물어볼 것입니다.



■ 코딩 개선



▢ 구문강조와 에러 점검을 할까요? 예 그러세요!


보이는 것에 문제가 있는데 작성하는 CSS에 정확히 무엇이 문제인지 알 수 없을 경우가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4.8.1에 도입된 CSS 구문 강조 및 에러 점검과 사용자 정의 HTML 위젯은 코딩 에러를 빠르게 집어낼 수 있습니다. 코드를 쉽게 둘러보고 빠르게 에러를 수정하는데 확실한 도움을 줍니다.



▢ 안전을 위한 샌드박스


공포의 화이트 스크린. 테마와 플러그인 코딩작업 시 피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워드프레스 4.9가 에러에 대해 경고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잠못이루는 밤이 없어지겠죠.



▢ 경고: 잠재적인 위험이 있습니다!


테마나 플러그인을 직접 수정할 경우 워드프레스 4.9는 이 작업이 위험하다는 것을 친절하게 경고해줍니다. 파일에 저장하기 전에 백업할 것을 권장합니다. 안전한 방법을 선택하세요: 나중에 자신에게 고마워할 것입니다. 팀과 고객도 고마워할 것입니다.



■ 더 많은 위젯 업데이트



▢ 새로운 갤러리 위젯


미디어 변경의 점진적인 개선은 워드프레스 4.8에서 도입됐습니다. 이제는 위젯을 통해 갤러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버튼을 눌러 미디어 추가하기


텍스트 위젯에 미디어를 추가하고 싶으신가요?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를 텍스트를 포함해 위젯에 바로 임베드하세요. 심플하고 유용한 미디어 추가하기 버튼을 사용하면 됩니다!




■ 사이트 제작 개선



▢ 더 신뢰할 수 있는 테마 변경


테마를 변경하면 위젯은 위치가 변경됩니다. 워드프레스 4.9의 개선된 점은 테마를 변경하더라도 일관된 메뉴와 위젯의 위치를 제공합니다. 추가적으로 설치된 테마를 미리보기 하거나 다운로드와 설치, 새로운 테마를 바로 미리보기 할 수 있습니다. 테마를 사이트에 공개하기 전에 간편하게 미리보기 할 수 있습니다.



▢ 더 나아진 메뉴 가이드 = 혼란 제거


새 메뉴를 만드는 단계 때문에 혼란스러운 적이 있나요? 아마도 이제는 없을 겁니다! 더 부드러운 메뉴 생성 과정을 위한 사용자 경험(UX)을 마련했습니다. 새롭게 단장된 가이드가 여러분을 안내할 것입니다.



■ 개발자의 행복



▢ Customizer JS API 개선


워드프레스 4.9에서 Customizer JS API의 많은 개선이 있었습니다. 많은 고민거리를 제거하고 PHP API처럼 작업하기 쉽게 만들었습니다. 또한 베이스 콘트롤 템플릿, 날짜/시간 제어, 몇 가지 섹션/패널/글로벌 알림 기능이 있습니다. 전체 목록을 알아보세요.



▢ 테마와 플러그인에서 사용 가능한 CodeMirror


CodeMirror라는 새로운 코드 편집 라이브러리를 도입했으며 코어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SS나 자바스크립드의 인클루드 필드와 같이 플러그인에서 코드 작성이나 편집 경험을 개선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MediaElement.js를 4.2.6으로 업그레이드


워드프레스 4.9는 MediaElement.js의 업그레이드 된 버전을 포함합니다. 이것은 제이쿼리의 의존성을 제거하고 접근성의 개선, UI를 현대화, 그리고 많은 버그를 수정했습니다.



▢ 역할 및 권한 개선


플러그인과 번역 파일의 세심한 관리가 가능한 새로운 기능이 도입됐습니다. 추가로 다중 사이트의 사이트 전환 과정에서 세밀한 조정이 이뤄져 더 신뢰할 수 있고 일관성 있는 역할와 권한 업데이트가 가능해졌습니다.



다음은 구글 번역본입니다. 


업데이트하기 전에 다음을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항상 업데이트 노트를 확인하십시오.

항상 파일과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십시오.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백업을 사용하여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백업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식 설명서를 확인하십시오 .

WordPress 테마 폴더 안에 테마의 이전 사본을 보관하지 마십시오.

업데이트 후 캐시 재설정

플러그인을 업데이트하십시오. 테마 필수 및 권장 플러그인은 ../Newspaper-tf/plugins 폴더의 테마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준비 - ThemeForest.net에서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방법 :


ThemeForest 계정에 로그인하고 다운로드 탭에서 신문 테마를 찾습니다.

그 옆에있는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고 설치 가능한 WordPress 테마 (WordPress 파일)를 다운로드하도록 선택하십시오.

파일을 다운로드 한 후 FTP를 통해 업데이트를 설치할지 아니면 WordPress를 통해 업데이트를 설치할지 또는 Envato WordPress Toolkit을 통해 자동으로 업데이트할지 결정해야합니다. 모든 방법에 대한 지침은 아래에서 계속하십시오.



A. FTP를 통해 테마 업데이트


1 단계 - 사이트를 유지 관리 모드로 설정하십시오.이를 위해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 Ultimate Maintenance Mode, WP Maintenance Mode ... 등)

2 단계 - "your site / wp-content / themes"폴더 위치로 이동하여 신문 테마 폴더를 컴퓨터에 저장하여 백업하거나 단순히 삭제하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가 손실되지는 않지만 테마 코드를 수정하면 손실 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가 끝나면 다시 신청해야합니다.

3 단계 - Filezilla를 사용하여 FTP 계정에 연결하십시오.

4 단계 - Filezilla 내부에서 Wordpress 테마 디렉토리 "your site / wp-content / themes"로 이동합니다.

5 단계 - 새 ThemeForest에서 Newspaper.zip 파일을 검색하고 파일을 추출하여 업데이트 된 Newspaper 테마 폴더를 가져옵니다.

6 단계 - 새로운 "Newspaper"테마 폴더를 "your site / wp-content / themes"로 드래그 앤 드롭하고 기존 파일을 덮어 씁니다.

7 단계 - 플러그인을 업데이트합니다. 테마 필수 및 권장 플러그인은 ../Newspaper-tf/plugins 폴더의 테마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B. 테마 자동 업데이트

오래된 Envato Toolkit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므로 Envato Market이라는 새로운 플러그인으로 교체되었습니다. 테마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십시오.


1 단계 - 여기에서 Envato WordPress 플러그인을 다운로드하십시오.  http://envato.github.io/wp-envato-market/


2 단계 - envato wordpress plugin (다운로드 한 .zip 파일)을 업로드하고 활성화합니다.

install_plugin    activate_plugin_1


3 단계 - 개인 토큰 만들기 - 토큰을 만들려면 플러그인 설정 페이지에서 제공된 링크에 액세스하고 화면의 지시를 따르십시오.


4 단계 - Envato 토큰 키 (토큰 이름 아님)를 지정된 필드에 삽입하십시오.

 


5 단계 - 새 항목 추가 - 구입 한 항목 목록에 테마를 추가하십시오. 개인 토큰과 Envato 아이템 ID 번호가 다시 필요합니다. 신문은 5489609이고 뉴스는 9512331입니다.


아이템 추가


이 시점까지 모든 것이 제대로 설정되고 변경 사항을 저장하면 테마라는 새 탭이 플러그인 설정에 나타납니다.


6 단계 - 테마 업데이트 - 테마 업데이트 버튼을 누르고 업데이트가 완료 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update_available


7 단계 - 플러그인을 업데이트합니다. 테마 필수 및 권장 플러그인은 ../Newspaper-tf/plugins 폴더의 테마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C. WordPress를 통해 테마 업데이트

 


1 단계 - 단순히 다른 테마를 활성화하여 모양> 테마 섹션에서 현재 "신문"테마를 비활성화하십시오. 다른 테마를 활성화하고 나면 신문 테마를 삭제합니다. 걱정하지 마십시오. 콘텐츠가 손실되지 않습니다.

2 단계 - 새로운 Themeforest 다운로드 (설치 가능 WordPress 파일에만 해당)에서 "Newspaper.zip"파일을 가져옵니다. Themeforest에서 "All Files & Documentation"을 다운로드 한 경우 수신 한 보관 파일의 압축을 풀어야합니다. Newspaper.zip이 그 안에 있습니다.

3 단계 - 모양> 테마로 이동하여 새 테마 추가를 선택하고 "Newspaper.zip"을 업로드 한 다음 "지금 설치"버튼을 클릭하십시오.

4 단계 - 업로드가 끝나면 테마 활성화를 선택하십시오.

5 단계 - 플러그인을 업데이트합니다. 테마 필수 및 권장 플러그인은 ../Newspaper-tf/plugins 폴더의 테마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비 티스토리 블로거님 반갑습니다. 티스토리 정책이 바뀌어서 지난 2월 16일 오후 3시 30분부터 어플을 통한 회원 가입이 중단됐습니다. 따라서 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하기 위해서는 초대장이 필요합니다. 초대장을 받는 과정이 번거롭게 느껴지실 수도 있지만 그만큼 값진 블로그가 될 것입니다.



제게 초대장 12개가 있습니다. 초대장이 필요하시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확인하는 대로 초대장을 드리겠습니다.





티스토리가 초대장 제도를 시행하는 것은 건강한 블로그를 운영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저도 이 취지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팸으로 의심되는 무의미한 이메일 계정, 예를 들어 ksgiowlwhska@abc.com, 15620543421@abc.com와 같은 이메일에는 보내드릴 수 없습니다.



또 처음 보는 일회용 이메일이나 의심이 되는 스팸성 이메일에는 보내드릴 수 없습니다. 



그리고 댓글에 간략하게 어떤 주제의 블로그를 만드시는지도 부탁드립니다. 다소 번거로우시더라고 깨끗한 블로그 문화를 만들기 위함이니 널리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하루 잘 마무리하시기를 바랍니다.



죄송합니다. 초대장 배포가 마감됐습니다. 이번에 댓글을 주셨는데 못 보내드린 분께는 다음달에 확인하여서 초대장을 보내드리겠습니다.





블로그라는 세계에서 만나게 돼 반갑습니다. 저도 두 달도 채 안된 신생아 블로거지만 제가 고민한 것을 여러분께서도 고민할 것 같아서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알게 된 점을 공유합니다.



아마도 이 글을 보시는 분이시라면 블로그를 처음 하시는 분일 확률이 높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기존에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었지만 애드센스라는 수익 구조에 관심이 있어서 찾아오셨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무슨 이유에서든 블로그를 시작하려고 마음먹었다면 우선 어떤 시스템의 블로그를 시작할 지 선택해야 합니다. 무슨 일이든지 첫 단추를 잘 꿰어야 합니다. 글을 쓴다는 일이 생각처럼 녹록하지만은 않은 일이기 때문에 심사숙고해서 결정내리시기를 바랍니다.





# 블로그, 왜 하시려고요? 


우선 무슨 일이든지 그렇겠지만 왜, Why, 목적의식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합니다. 블로그로 수익을 얻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면 큰 고민없이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운영하는 블로그를 선택하시면 무리가 없습니다.



하지만 저처럼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아주 조금이지만 수익을 얻고자 하신다면 네이버 블로그에 대해서 다시 한번 심사숙고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저의 경우 구글 애드센스라는 것을 처음 접하게 된 후 '아~ 블로그로 돈을 벌 수 있는 거였어? 그 많은 광고들이 돈이었던거야?‘라는 생각이 들면서 좀 과장하면 '충격'을 받게 됐습니다.



결국엔 수익을 좀 보자 하는 마음으로 블로그를 개설하게 됐다고 고백아닌 고백을 하겠습니다. 하지만 블로그를 개설하고 글을 써보시면 알겠지만 단순히 돈을 벌겠다는 이유로 하신다면 당장 생각을 접는게 좋습니다. 우선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본인의 블로그로 유입되지 않는 경험을 하게 되실 테고, 광고 또한 생각보다 클릭률이 높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실 겁니다. 또 글을 완성도 높게 써야 그 글이 검색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글을 작성하는데 들어가는 시간 또한 생각보다 많이 잡아먹기 때문입니다.



돈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차라리 마트 등에 가서 단순 노동을 하든지 알고 있는 지식을 활용한 다른 업무를 찾아보시는 게 나으십니다. 블로그로 돈벌기라는 명제 이외에 분명한 목적의식이 있으셔야 합니다. 저의 경우 관심분야인 재테크 부문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공유하면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시작하게 됐습니다. 즉 공부도 하면서 정보도 나누는 ‘1석 2조’를 꿈꾸고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블로그로 돈벌기가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 중의 하나라면, 구글 애드센스가 목적이라면 여러분의 선택지는 좁혀들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나 워드 프레스 블로그의 세계로 동참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물론 네이버 블로그도 수익을 내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저처럼 블로그의 문외한이고 주업으로 하지 않는 사람의 경우에는 티스토리가 훨씬 노력 대비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서도 구글 애드센스와 같은 수익구조가 있습니다. 바로 애드포스트입니다. 블로그에 보시면 몇줄의 사이트 소개 같은 것이 달려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을 클릭하면 수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많은 블로거들의 조언을 종합해본 결과 애드포스트보다 구글 애드센스가 훨씬 수입이 낫다고 합니다. 



▼ 네이버 애드포스트의 예



▼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의 예



워드프레스도 구글 애드센스를 설치할 수 있지만 단점이 비용이 든다는 사실입니다. 또한 설치형 블로그이기 때문에 블로그를 운영하는데 HTML이나 CSS에 대한 지식이 있으셔야 합니다. 


제가 좀 전에 설치형 블로그를 언급했는데 그렇다면 네이버, 티스토리, 워드프레스로 나누는 기준을 알아볼까요?



설치형 블로그(Installation Type Blog)


개인이 자기 서버에 설치하고 운영하는 개인용 블로그. 자신의 고유한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고, 글이나 그림 등 콘텐츠가 개인에게 귀속되며, 디자인이나 구조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워드프레스가 설치형 블로그에 해당됩니다.


워드프레스 장점 

▶레이아웃과 디자인이 자유로워 홈페이지처럼 만들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등 배너광고를 넣을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단점

▶초보자들이 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HTML이나 CSS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는데 비용이 소요됩니다.



가입형 블로그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는 블로그 서비스를 말합니다. 블로그를 서비스하는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하면 자신의 블로그 페이지가 생성됩니다. 


네이버 블로그 장점

▶초보자도 쉽게 개설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스킨이 있어서 특별한 전문지식 없이 예쁘게 꾸밀 수 있습니다.

▶이웃과의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방문자 수를 비교적 쉽게 늘릴 수 있습니다.

▶협찬에 대한 쪽지나 메일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단점

▶네이버사로부터 규제를 많이 받습니다.

▶디자인이나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없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등 배너광고를 달기 어렵습니다.



혼합형 블로그


가입형 블로그와 설치형 블로그가 혼합된 형태를 의미합니다. 티스토리가 혼합형 블로그에 해당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장점

▶구글 애드센스, 다음 애드핏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HTML, CSS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디자인도 가능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단점

▶방문자 수를 늘리기가 어렵습니다.

▶개설하기 위해서는 초대장을 받아야 합니다.

▶네이버 검색 노출에서 불리합니다



어떤 블로그를 선택할지 도움이 좀 되셨나요? 여러분들이 시행착오 없이 잘 연착륙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행복하고 즐거운 블로그 생활 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블로그를 시작한 지 만 1개월이 되었네요. 블로그를 처음 시작해 본 것이라 정신없이 1개월이 지나갔어요. 그래도 꾸준히 글을 쓰다보니 포스팅한 글이 30개가 넘게 되었어요. 그렇다보니 이젠 블로그에 글을 쓰다보면 이전에 포스팅했던 글을 넣고 싶을 때가 있었어요.



이 글까지 찾아오신 여러분도 아마 저처럼 이전 글 또는 관련글을 어떻게 넣는지 궁금하실텐데 간단한 방법이 있으니 포스팅합니다.



간단한 방법을 몰랐을 때에는 각각 포스팅한 글을 찾아 본문에 제목을 적고 url을 연결해주는 원시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줄 알았어요. 안 그래도 글을 쓰기에도 벅찬데 일일이 url까지 지정해 줄 것을 생각하니 눈앞이 깜깜해지더군요.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똑똑한 티스토리가 이전 글 또는 관련글을 편하게 지정해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어요.

우선 제가 티스토리 내에 있는 프로그램을 활용해 관련글을 작성한 예를 보시겠어요.



                  ▼이전글(관련글) 작성 예



어때요? 보기에 괜찮으신가요? 이렇게 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우선 티스토리 블로그의 관리자 화면으로 들어가셔야 해요. 관리자 화면에 들어가시면 <플러그인 설정> 화면이 있어요. <플러그인 설정>을 클릭하시고 메뉴 중에 <글쓰기 이전 글 링크 삽입>이 있을 거에요. <글쓰기 이전 글 링크 삽입>을 사용하는 것으로 체크하세요. 저는 이미 사용하는 것으로 활성화 돼 있더라구요.





그 다음에는 <글쓰기 이전 글 링크 삽입>을 클릭하여서 ▲삽입 형태 ▲출력개수 두 가지에 대한 세부 방식을 지정해주면 돼요.

삽입 형태에는 ▲날짜와 제목 ▲카테고리와 제목 ▲날짜와 카테고리 및 제목 등 세 가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니 적당한 것으로 지정하시면 되고, 출력개수도 원하시는 대로 지정하시면 됩니다.





이제 글쓰기 화면으로 돌아오셔서 직접 글을 한번 작성해보세요. 글쓰기 화면의 오른쪽에 기본설정이 있으시죠? 오른쪽 기본설정의 아랫부분에 있는 플러그인을 클릭하신 후 이전 글 넣기를 클릭하면 여러분이 지정한 형식의 이전 글들의 모임이 새로운 화면으로 뜰 거에요.



새로운 화면으로 생성된 이전 글 모음에서 넣고 싶은 글을 클릭해 선택하시면 됩니다. 만약 날짜와 제목이 표시되도록 선택했다면 <2017/02/06 - 신협 저율과세로 5만원 절약, 1500만원 정기예금 투자기> 이런 식으로 날짜와 제목이 나오고 url이 표시됐다는 의미로 점선이 표시될 거에요. 



그러면 어차피 url이 지정돼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마음에 들도록 폰트 크기나 내용, 색깔, 크기를 변경하셔서 활용하시면 됩니다. 





이전 글(관련글) 넣기 따라해 보세요


티스토리 관리자 → 플러그인 설정 → ‘글쓰기 이전 글 링크 삽입’ 체크 → ‘글쓰기 이전 글 링크 삽입’ 클릭해 세부 항목 지정 → 글쓰기 → 글쓰기 화면의 오른쪽 기본설정 밑에 플러그인 클릭 → 이전 글 넣기 클릭 → 원하는 글 선택해 클릭 → 폰트 적당히 조정




지금까지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이전 글(관련글) 링크 삽입하는 방법을 살펴봤습니다. 이 팁을 잘 활용하시면 여러분의 블로그에 찾아온 방문자들이 체류하는 시간을 늘려주는데 도움이 될 거에요. 잘 활용하셔서 즐거운 블로그 생활이 되시기 바랍니다.



1월 8일 블로그를 시작한 병아리 블로거인 저는 구글로부터 무시무시한(?) 메일을 받게 됐습니다.
메일은 1월 28일에 ‘비보안 비밀번호 모음으로 인해 Chrome 56에 http://plusmoney.tis​tory.com/ 경고가 표시됩니다’라고 하는 제목으로 도착했습니다.



내용을 미처 보기도 전에 제목에 명시된 ‘비보안 비밀번호 모음’, ‘경고  표시’ 이런 문구 때문에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는데요. 티스토리 블로그를 이용하시는 여러분들도 같은 경험을 하셨을 것 같아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구글 애드센스를 승인받기 전이라 구글로부터 메일이 오면 긴장을 하곤 하는데 구글 서치 콘솔팀으로부터 메일이 오다보니 더 긴장하게 됐나봅니다.



메일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2017년 1월부터 Chrome(버전 56 이상)에서는 페이지가 HTTPS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 비밀번호나 신용카드 세부정보를 수집하는 페이지를 '안전하지 않음'으로 표시합니다.



-저의 블로그에 비밀번호나 신용카드 세부정보를 수집하는 입력란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새로운 Chrome 경고가 표시됩니다.



-이 경고가 어디에 표시되는지 확인하고 사용자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시기 바랍니다. 이 목록은 일부일 뿐 전체 목록이 아닙니다.



-새로운 경고는 암호화되지 않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페이지를 '안전하지 않음'으로 표시하기 위한 장기 계획의 첫 번째 단계입니다





메일에서는 또 문제해결 방법도 친절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Chrome 사용자가 사이트를 방문할 때 '안전하지 않음' 알림이 표시되지 않게 하려면 비밀번호 및 신용카드 입력란 모음을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해 제공되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한 마디로 정리를 하자면, 티스토리로 운영되는 당신의 블로그에 댓글 입력할 시 비밀번호를 사용하도록 돼 있으므로 크롬 56에서 ‘안전하지 않음’으로 표시되지 않으려면 HTTPS 홈페이지로 변경해야 한다는 말이었습니다.



그렇다면 HTTP는 무엇이고, HTTPS는 무엇일까요?





저의 블로그의 경우 블로그 주소가 http로 시작하는 반면, 하나은행의 경우 https로 시작한다는 차이점을 발견하셨나요?



위키피디아를 통해 http와 https의 차이점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www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로, 주로 HTML 문서를 주고받는 데에 쓰입니다. TCP와 UDP를 사용하며, 8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응답(request/response) 프로토콜로,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HTTP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웹페이지나 그림 정보를 요청하면, 서버는 이 요청에 응답하여 필요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됩니다. 이 정보가 모니터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HTTP를 통해 전달되는 자료는 http:로 시작하는 URL(인터넷 주소)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https에 대한 기술입니다.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HTTP over TLS, HTTP over SSL, HTTP Secure)는 월드 와이드 웹 통신 프로토콜인 HTTP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입니다. HTTPS는 통신의 인증과 암호화를 위해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 코퍼레이션이 개발했으며, 전자 상거래에서 널리 쓰입니다.
HTTPS는 소켓 통신에서 일반 텍스트를 이용하는 대신에, SSL이나 TLS 프로토콜을 통해 세션 데이터를 암호화하므로 데이터의 적절한 보호를 보장합니다.
보호의 수준은 웹 브라우저에서의 구현 정확도와 서버 소프트웨어, 지원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달려있습니다. HTTPS를 사용하는 웹페이지의 URL은 'http://'대신 'https://'로 시작합니다.



한 마디로 보안이 적용되고 안되고의 차이에 따라 http와 https가 나뉘어지기 때문에 결제 및 인증 등과 같이 보안이 필요한 경우 https 프로토콜을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결국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키는 블로그를 https로 바꾸면 되는데요. 티스토리를 활용하는 저희같은 유저들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지 난감할 뿐입니다. 블로거들이 https사이트를 개인적인 지출을 통해 개설할 수도 없는 문제이구요. 티스토리 측에서 어서 빨리 이 문제를 해결해주기를 바랄 뿐입니다. 저희 유저들이 티스토리 측에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해 주기를 부탁하는 것도 영향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해봅니다. 티스토리의 입장도 궁금하기 때문에 조만간 내용을 정리하여 티스토리 고객센터에 문의를 할 계획입니다. 당분간 이 문제가 어떻게 해결될 지 지켜보도록 합시다. 혹시 다른 해결책이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 Recent posts